대전시는 16일 오후 2시 시청 대강당에서 시민단체, 주택관리 관계자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더(The) 살기 좋은 아파트 만들기’행사를 개최한다.
시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입주민간의 분쟁과 비리 등 공동주택 관리 문제를 전국 최초로 유관기관이 상호 협력해 투명한 공동주택 관리와 분쟁예방 시스템 구축은 물론 공동체 문화 활성화와 공용시설 환경개선 등‘더(The) 살기 좋은 아파트 만들기’를 위해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시민단체 등 5개 기관·단체 협약식, 살기좋은 아파트 만들기 정책 토크, 아파트 관리운영 직무 교육 순으로 진행된다.
이날 협약식은 권선택 시장을 비롯한 김인식 시의회의장, 박영신 (사)대전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장, 강도묵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이철호 대한주택관리사협회대전시회장 등이 참여해 각 기관·단체는 더 살기 좋은 아파트를 만들기 위해 상호 협력키로 했다.
이어 `더(The) 살기 좋은 아파트 만들기 정책 토크쇼’에서는 전문가의 주제발표에 이어 시의회 김동섭 의원의 주재로 시민단체와 함께 주택관리 관계자와 소통의 시간을 갖고, 공동주택관리 관계자에 대한 직무교육을 실시하여 주택관리 능력을 향상하는데 노력하였다.
김동욱 시 주택정책과장은“시민단체의 참여로 수동적인 공동주택 관리행정에서 보다 능동적인 현장행정 중심의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주민들의 분쟁과 갈등을 해소하고 관리비 절감과 공동체 활성화로 더(The) 살기 좋은 아파트가 조성되도록 시민의 관심과 참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 3월에 공동주택 관리와 관련한 실무와 경험이 풍부한 건축⋅기계⋅전기⋅통신⋅소방⋅승강기 등 10개 분야의 민간전문가 자문 위원 19명을 위촉하여 각종 공사와 용역에 대한 기술자문을 지원하고, 전문가 자문단을 활용한 민⋅관 합동 감사반을 운영하여 투명한 아파트 관리가 되도록 하여 입주민의 권익보호에 앞장서고 있다.
아울러, 노후 공동주택의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하여 어린이 놀이터, 단지내도로, 교통안전시설, 커뮤니티시설 등 공용시설에 대한 보수비를 자치구를 통해 지원하는 등 투명하고 쾌적한 공동주택 조성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추진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