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사환에게 이르되 올라가 바다쪽을 바라보라 그가 올라가 바라보고 말하되 아무것도 없나이다 이르되 일곱 번까지 다시 가라 일곱 번째 이르러서는 그가 말하되 바다에서 사람의 손 만한 작은 구름이 일어나나이다 이르되 올라가 아합에게 말하기를 비에 막히지 아니하도록 마차를 갖추고 내려가소서 하라 하니라"(열왕기상 18장 43, 44절)
엘리야 시대에 이스라엘에 땅에 지독한 가뭄이 들었다. 3년 반 동안 비 한 방울 내리지 않았다. 그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런 때에 하나님의 사람 엘리야가 갈멜산 꼭대기에서 자리를 잡고, 하늘을 우러러 비를 내려 주시기를 기도 드렸다. 머리를 두 무릎 사이에 박고는 목숨을 건 기도를 드렸다. 기도드리며 사환에게 바다 쪽에서 비를 실은 구름이 떠오르는지 바라보라 하였다.
사환이 일곱 번째 다녀와서 이르기를 "손만 한 작은 구름"이 떠오른다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엘리야는 왕과 백성들에게 비를 피할 채비를 하라 전하였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손만 한 작은 구름"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읽고 하나님의 솜씨를 보게 된다. 행정가들이나 학자들, 기업인들은 90%의 가능성이 있을 때에 움직인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은 다르다. 개척자들은 다르다. 1%의 가능성에 인생 전체를 건다. 그 1%의 가능성이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기도의 응답인 줄로 믿기에 그 1%에 자신의 삶과 미래를 던진다.
미국과 캐나다 사이에 나이아가라 폭포가 있다. 1,205m 거리에 다리가 걸려 있어 년간 2백만이 넘는 관광객들이 그 다리를 오가며 나이아가라의 모습을 본다. 그 다리를 놓을 때에 모두가 불가능하다 하였다. 그러나 한 중소기업 사장이 "가능하다"며 나섰다. 모두들 사장이 미쳤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사장은 남이 보지 못하는 1%의 가능성을 보고는 그 1%에 자신을 걸었다.
비둘기 다리에 가는 실을 매어 폭포 위를 날아 건너편으로 날아가게 하였다. 비둘기가 돌아올 땐 좀 더 굵은 줄을 묶어 날아오게 하였다. 이러기를 반복하니 굵은 밧줄이 걸리게 되고 그 줄로 굵은 와이어를 연결 할 수 있었다. 결국은 튼튼한 다리가 놓아져 숱한 관광객들이 오갈 수 있게 되었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손만 한 작은 구름’에 삶 전체를 투자한다. 그 구름이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싸인 이라 믿기 때문이다.
가만히 앉아 있는 사람에게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나님께서는 손만 한 작은 구름을 보고 자신의 미래를 던지는 사람들의 손을 들어 주신다. 1%이 가능성을 보고 그 가능성에 자신을 던지는 사람들이 미래의 주인이 된다.
손만 한 작은 구름, 1%의 희망
저작권자 © OTN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