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시내버스 이용객이 작년 하루 44만 명에서 올해 42만 명(8월 기준)으로 약 2만 명이 줄었다. 2005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매년 평균 약 3% 정도씩 꾸준히 증가하던 시내버스 이용객이 작년부터 1% 미만으로 증가세가 둔화된 후, 올해는 감소세로 돌아선 모양새다.
생각지 못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여파로 인한 이용객 감소를 차치하더라도 매월 약 3% 정도의 감소가 지속된다면, 이는 운송수입의 감소로 이어져 자칫 대전시의 시내버스 재정지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시에서는 큰 걱정을 하고 있다.
대전시는 시내버스 이용객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인구의 감소, 유가 하락으로 인한 승용차 이용 증가 등을 지적하며, 서울을 비롯한 다른 광역시들도 적게는 3%에서 많게는 7%까지 감소하고 있어 시내버스 이용객의 감소는 전국적인 추세이고 원인은 유사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시내버스의 1일 대당 적정 수입은 약 55만 원이 되어야 하나, 전체 91개 노선 중 10만 원 이하 노선이 4개, 10만 원대 노선이 23개, 20만 원대 노선이 9개 등 총 85개 노선(93%)이 적정 수입에 못 미치는데(2015년 8월 기준), 이는 경영수지가 맞지 않더라도 시내버스의 공익성에 우선을 두고 교통이 불편한 외곽 지역 등을 운행하여 이른바 교통복지를 실현하고 있는 것이 시내버스 재정지원의 큰 이유라고 밝혔다.
시에서는 새로운 승객 창출을 위해 10월부터 고질적인 불법주정차 거리에 버스탑재형 단속카메라를 15개 노선에서 22개 노선으로 확대하여 정시성을 확보하는 한편, 운수종사자 인사하기·급출발·급정거·무정차 안하기 등 친절하고 안전한 KS(Kindness & Safety)버스 만들기에 비중을 두고 업체의 서비스 평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대전시 전영춘 버스정책과장은“8년째 노사분규 없이 안정적인 버스운행을 이어오고 있지만 앞으로 노·사와 시가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고, 시민들도 애착을 갖고 이용해 주면 재투자 여력이 생기는 만큼 시내버스를 많이 이용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며“특히 승용차를 이용할 때보다 연간 60만 원의 보너스도 함께 챙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