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육군본부, 국방과학연구소가 공동주최하는‘제7회 육군M&S국제학술대회’가 18일(화) 오전 10시 개회식을 시작으로 19일(수)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가상의 전장환경을 체험하고 훈련을 통해서 임무수행을 숙달할 수 있는 M&S체계(Modeling & Simulation)의 미래 지향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회식에는 권선택 대전시장, 김요환 육군참모총장, 정홍용 국방과학연구소장, 정승조 前합참의장, 김흥남 ETRI원장, Dr, Crain 미 육군분석평가국장(CAA), 김형태 한남대총장, 주한 무관단을 비롯해 각계의 M&S 산․학․연․군 관계관 및 관련업체 등 1,000여 명이 참석했다.
학술대회 1일차는 개회식, 전시부스 관람에 이어 합참 및 연합사, 한국국방연구원(KIDA),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방대 등에서 5개 분과별(정책분석, 교육훈련, 획득기술, 통계, 국제) 다양한 주제에 걸쳐 50여편의 논문발표와 패널들의 열띤 토론과, 2일차에는 분과별 주제발표 및 한․미 M&S 현안토의 등으로 진행되어 발전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수렴과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김요환 육군참모총장은 이날 대회사를 통해“국방M&S가 미래 전력소요와 부대능력을 분석하는 국방개혁의 핵심수단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도구”임을 강조했다.
또한 기조연설에서 정승조 前합참의장은 국방M&S의 역할과 발전방향에서 적극적인 M&S체계의 활용을 강조했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김흥남원장은 창조 경제와 ICT융합, 국방과 IT융합 등 국방과학기술의 중요성과 군(軍)․연(硏)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국방과학기술의 청사진을 제시했고, 美 육군 분석평가 국장 크레인 박사(Dr.Forrest Crain)는 기조연설을 통해 한․미 양국의 M&S성과와 M&S체계가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했다.
육군은 연합연습 모의지원체계 발전과 한․미 M&S 주요현안 등에 대한 활발한 토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KTCT 과학화 전투훈련이나 마일즈 장비를 활용한 훈련, 헬기 및 전차조종 등 고위험, 고비용의 임무수행을 숙달하기 위해 워게임 훈련을 연동하는 과학화 훈련체계를 한 단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국방M&S 관련업체 및 기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육군 과학화전투훈련단의 마일즈 훈련장비, LIG넥스원의 지휘통제체계 시뮬레이터, 한국항공 우주산업의 국산기동헬기(KUH) 정비시뮬레이터 등 M&S분야 최첨단 기술과 장비 등을 선보여 미래의 과학화 훈련방향과 비전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체험할 수 있어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었다.
또 SW 방산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한 무관, 외국군 장교, 미 육군분석평가국(CAA), 육군물자체계분석국(AMSAA)등 관계자들을 초청하여 우수한 국내기술력을 홍보하고 해외판로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이다.
한선희 시 과학문화산업본부장은“이번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미래 과학화 훈련방향과 비젼 제시로 우리군이 전투형 강군으로 육성되기를 바란다.”며 “국방과학도시 대전에서 국내 우수한 SW융합의 M&S기술력을 세계시장에 알리는데 구심점 역할을 다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