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양군은 쌀의 고품질 안전생산을 도모하고자 건강한 묘 육성을 위한 관리 요령 홍보에 나섰다.
군 농업기술센터는 ▲충실한 종자 ▲종자소독 철저 ▲파종량 준수 ▲적정 파종시기 ▲최적 온도관리 등의 5대 원칙을 중심으로, 특히 볍씨 종자에서 발생되거나 전염되는 병을 미리 막을 수 있는 종자소독 요령 알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종자소독은 물 40ℓ에 적용약제를 희석 30℃에서 48시간 침지하는 방법과 60℃의 물 100ℓ에 벼 종자 10㎏을 10분간 담근 후 바로 냉수에 식히는 온탕소독이 있다.
정부 보급종 볍씨는 약제를 묻혀 놓은 상태로 공급되므로 30℃의 물에 48시간 동안 담가 소독하면 된다.
살균제 중 프로클로라즈 성분을 추가 사용할 경우에는 발아율이 떨어지거나 초기에 모가 잘 자라지 않는 위험이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볍씨를 소독할 때는 소독 순서를 반드시 지키고, 소독약이 효과적으로 볍씨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볍씨와 물의 양, 약제 희석 배수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또한 발아기를 사용할 때 볍씨를 너무 많이 겹쳐 쌓으면 약액이 고루 침투되지 않아 안쪽에 있는 종자는 소독이 되지 않고 오히려 키다리병 병원균이 잘 자라는 조건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고품질쌀을 생산하기 위한 첫 걸음은 철저한 종자소독에 있다”며 “볍씨 소독만 잘해도 키다리병 등 주요 종자전염 병해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군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8일부터 내달 18일까지 볍씨최아은행을 운영해 농가업인이 종자소독을 마친 볍씨를 가져오면 최아기를 이용 싹을 틔워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