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찬우 의원(천안 갑)은 11일(화)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서울시의 용산공원 조성사업에 관련 하여 재 공론화 및 공원경계 회복 등에 대한 문제점과 부적합성을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박찬우 의원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가진 지난 8월 용산공원 관련 기자설명회에서 ‘공동조사 요구’, ‘국가공원 성격 명확화’, ‘공원경계 회복’ 등 6가지 지적 한 것에 대하여 ‘국비까지 받아 진행한 7년간의 추진과정을 부인하는 것’ 인지, ‘인정은 하지만 새로운 의견을 제시한 것’ 인지, 이미 11개월이라는 상당한 기간의 공론화 과정을 거친 부분에 대해 재 공론화하자는 의견에 의문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당초 2027년도 완성계획이었던 ‘용산공원 조성사업’이 재 공론화 및 행정절차를 수정 한다면 15년 뒤인 ‘2030년은 되어야 완공될 것’이라고 말하였고, 이는 ‘지금 살고 있는 서울시민들은 하나도 혜택을 받지 못할 것’이라며 공론화를 거쳐 추진된 계획이라면 일부 이견이 있더라도 잘 협의하여 추진절차에 차질을 빚지 않고 현재 서울시민들이 혜택을 받도록 해야 한다는 게 박찬우 의원의 주장이다.
또한 그는 국방부 부지는 해방 이 후 에도 그 자리에 존속하고 있었고 전쟁기념관은 육군본부자리, 방사청은 국방부조달본부자리 인데 왜 용산기지라 칭하는지, 경계회복과 관련이 있는지 근거자료를 요청하였으며, ‘공원 내 시민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전쟁박물관, 중앙박물관을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 정말 시민의 뜻’ 이냐며 ‘국방부가 서울 중심에 있으므로 서울 방위의 상징적 의미가 된다.’ 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앞으로 내 사람만 옳다고 주장하는 것 보다는 정부와 함께 조합하고 타협하여 대화하는 자세를 가지고 각자의 의견에 대해 절충하는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