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는 일제강점기 대전지방 민족·사회운동과 경제·교육 분야 관련 기록물 48건을 수집, 번역문과 함께 원문 자료를 영인 수록한‘대전사료총서 제20집 - 대전시사자료집 12(일제강점기편 7)’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도서는 3개년으로 계획된 일제강점기 대전시 관련 기록물 수집‧번역 사업의 첫 단계이며, 지난해에는 일본어판 신문에 등재된 자료를 영인과 더불어 번역 수록한‘대전사료총서 제19집 - 대전시사자료집 11(일제강점기편 6)’을 발간하기도 했다.
도서에는 일제강점기 대전지역 민족·사회운동 관련 주요 기록으로 대전시장과 유성시장 등에서 전개된 3·1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이권수·이상수·김직원 등에 대한 판결문을 비롯해, 1919년 3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지원 하에 서울에서 조직된 비밀독립운동 단체인 대동단(大同團)에 참여·활동했던 대전출신 주한규와 김용원 관련 판결문 등이 실려 있다.
또한, 대전지역 대표적인 노동운동인 대전군시제사대전공장 파업 투쟁을 지원했던 단체인 대전전위동맹(大田前衛同盟)에 관여했던 원종응·권용두·김지성·서재윤 등 42명에 대한 판결문 등을 번역 수록하였다. 이들 판결문들은 일제강점기 대전지역 민족·사회운동을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경제 관련 기록물은 일제강점기 대전지역 상공업자들이 결성한 단체로 지역 경제의 구심점이 되었던‘대전상공회의소 설립 관계철’을 수록했다.
조선총독부 식산국 상공과에서 1934년 생산된 이 기록물에는 1932년 7월 7일 대전상공회의소 설립 인가 요청서에서부터 1933년 11월 27일 설립 인가를 허가한 조선총독부 공문과 고시안까지 대전상공회의소 설립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특히 인가를 위해 제출했던 서류에는 1930년 전반기 대전지역의 사회경제 상황을 알 수 있는 각종 통계자료가 포함되어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대전학교조합 관련 기록물은 1910년대 후반부터 1930년까지 대전지역 학교 운영 상황을 엿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1921년 3월 대전공립고등여학교(현 대전여자중학교 전신) 설립을 인가하는 문서와 입학 지원자 증가로 인해 기존 1개 학급 5학년제를 2학급제로 변경하기 위한 인가 과정 및 교실과 강당 건립비 조달을 위한 공채 발행 사실 등을 세세히 담겨져 있는 기록물이다.
일제강점기 대전지역의 민족·사회운동과 경제 그리고 교육분야에 대해 엿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담은‘대전사료총서 제20집 - 대전시사자료집 12(일제강점기편 7)’은 관내 초·중·고 및 대학교, 도서관에 배부해 시민들이 자유롭게 열람해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또한 앞으로도 대전시 역사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수집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