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대중교통중심도시, 지속가능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람중심의 도시환경 조성’과‘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핵심과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대전시의 행정적 노력이 제고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세계 차 없는 날(9.22.)’을 기념해 20일 오후 2시 대전시청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시민포럼’에서 토론자 및 발제자들은 한목소리로 “대중교통 활성화의 핵심요소는 시민 참여”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지정 토론자로 나선 김명수 한밭대학교 교수와 문창기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승용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및 보행자중심의 도시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수요건”이라며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는 시민들의 인식제고와 참여여부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행사를 주관한 대전개발위원회의 강도묵 회장은 “우리 대전은 승용차 이용률이 57.6%로 특·광역시 중 최고인 반면,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은 28.2%에 불과하다”며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는 쾌적한 대전을 위한 대전사랑 실천의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대전시 이재관 행정부시장은“매월 22일을‘대중교통의 날’로 지정하고 5개 자치구와 함께 적극 실천해 나갈 계획이지만, 시민의 공감과 참여 없이는 그 어떠한 정책도 실효성이 없다”고 전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범시민운동이 확산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또 이날 시민포럼에서는 대중교통 활성화는 시민 개개인에게는 건강과 활력을 찾아주고, 도시전체의 교통안전성도 높아진다는 의견과 사례발표도 이어졌다.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남궁성 박사는‘일상이 여행이 되는 차 없는 날의 행복보고서’라는 주제발표에서“전 세계 10억대의 등록차량 가운데 도로 위 차량 10대 중 7대는 승용차이고, 승용차 10대 중 8대가 나홀로 차량”이라며“교통수단으로서의 진정한 차량공유는 대중교통 활성화”라고 주장했다.
특히 남 박사는 “자전거는 시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최적의 교통수단”이라며 자전거 이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로교통공단 대전충남지부 김진형 교수는‘안전감수성 2% 채움 동행’이란 주제발표를 통해“대중교통수단의 만족도는 경제성 보다는 안전성과 편리성 순이며, 대중교통이용이 활성화되면 그만큼 교통안전도 정비례해 높아지는 것”이라며 “도로위에서 위험을 회피하고 안전감수성을 높여나가려는 시민의 인식제고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이날 포럼에 참석한 시민과 각계 인사들은 ▲ 시민들의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강화 ▲ 대중교통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행정적 뒷받침 ▲ 각급 공공기관 및 민간의 참여확대를 위한 단계적 실천방안 마련 등을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대전시 양승찬 교통건설국장은 “매월22일 대중교통의 날이 정착되면 대기환경 개선은 물론 교통량 감축에 따른 교통체증과 교통사고 감소,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에 매우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시민참여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홍보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