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2017년 10월의 독립운동가 선정 및 전시회 개최
독립기념관, 2017년 10월의 독립운동가 선정 및 전시회 개최
  • 김재복 기자
  • 승인 2017.10.02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압록강을 넘어 조국 광복의 푯대를 세운 의병 채상덕(蔡相德, 1862. ~ 1925.)

독립기념관(관장 윤주경)은 국가보훈처와 공동으로 독립운동가 채상덕을 2017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공훈을 기리는 전시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한다.

 

▲ 보도기사

 

【 개 요 】

〇 기 간 : 2017. 10. 1. ~ 10. 31. (한 달간)

〇 장 소 : 독립기념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제5․6관 통로)

〇 내 용 : 대한통의부 의용군 훈련사진 등 8점

 

채상덕은 1862년 황해도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 그의 스승인 최익현(崔益鉉)이 전북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킬 때 충남의 곽한일(郭漢一)ㆍ이남규(李南珪) 등을 찾아가 호남과 호서를 있는 연합전선 구축을 위해 의병을 일으켜달라고 호소하였다.

 

1912년 고종황제는 임병찬(林炳贊)에게 비밀칙서를 내려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를 조직하도록 하였다. 채상덕은 1913년 3월 임병찬 등과 함께 13명의 총 대표 중 한명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13년 5월 독립의군부는 일제에게 한국 침략의 부당성을 일깨우는 서한과 국권반환 요구서를 보내는 거사를 계획하였다. 하지만 거사 직전 일제에게 발각되어 독립의군부 지도부와 대원들은 대거 피체되었고, 채상덕은 압록강을 건너 남만주 관전현(寬甸縣)으로 망명하였다.

 

1922년 8월 남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독립운동 단체들의 통합을 위해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를 결성하였다. 채상덕은 부총장으로 선출되어 간도참변으로 파괴된 한인사회의 복구와 통의부의용군 양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1923년 초 대한통의부 사이에서 이념적 갈등이 발생하자, 채상덕은 복벽주의 계열의 인사들과 대한의군부를 조직하였다. 또한 대한통의부 의용군이었던 채찬(蔡燦)ㆍ김원상(金元常) 등도 통의부에서 나와 육군주만참의부를 조직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을 따라 참의부로 옮겨간 인물들 대부분은 채상덕의 제자와 부하들이었다.

 

1925년 3월 일제가 참의부의 회의장소를 기습 공격하여, 참부의 대원 29명이 전사하는 고마령 참변이 발생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채상덕은 “부하가 다 죽었으니 나 혼자 살아있을 면목이 어디 있겠느냐”는 말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독약을 마시고 자결 순국하였다. 정부는 1995년 채상덕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본사 :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4 (나성동, 갤러리 세종프라자) 602호
  • 연락처 : 044-999-2425
  • 등록번호 : 세종 아 00067
  • 발행·편집인 : 임헌선
  • 대전본부 : 대전광역시 동구 홍도로 51번길 13 청와대 105호
  • 발행일 : 2018-03-21
  • 제호 : OTN매거진
  • 명칭 : OTN매거진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otn.kr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헌선
  • 등록일 : 2018-02-21
  • OTN매거진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OTN매거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us7232@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