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는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올해 초부터 진행한‘대규모점포의 효율적인 종합관리 방안 연구과제(이하‘용역보고서’)’에 대한 최종 용역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았다고 8일 밝혔다.
시에 제출된 이번 용역보고서에는 향후 5년간 대전시의 대규모점포 관리계획 수립 및 유통선진화 방안을 마련하여 대전을 충청권의 상권 중심지로 육성하고 그동안 유지되어 왔던 유통총량제 필요성 여부와 활용 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시가 제안한 주요 연구과제로는 ▲ 대전을 비롯한 세종시․ 충남북 경제권과의 상호 보완성 강화 ▲ 최근 대전지역의 대형유통업체 현황 ▲ 자치구별 업태별 현황 파악 ▲ 주요 유통업 경쟁력 관련 지표를 활용한 주요 대도시와의 비교를 통해 대전의 유통정책 방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도록 제안했다.
연구원에서 제출한 연구보고서 내용을 살펴보면 ① 충청권의 대규모점포(백화점 제외)의 균형매장면적 구매수요는 전국의 11%에 비해 매장공급면적은 8.8% 수준으로 수요에 비해 부족하며 ② 백화점의 균형매장면적 구매수요는 전국의 18.4%에 비해 매장공급면적은 6.4% 수준으로 전체적으로 매장공급면적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연구보고서에는 대전지역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통해 대전의 전국 대비 유통산업 비중을 높이면서, 인근 주민들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 유입까지 염두에 둘 수 있는 유통환경을 조성을 위해서는 유통총량제는 기존대로 유지하되 역세권 개발 사업이나 터미널 조성 사업 등 공익적 목적에 한하여 대규모점포의 신규 입점을 최소 규모로 허용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특히, 대규모 점포와 중소유통업체간 상생협력을 위해 ① 지역기여도 관리 대상 점포를 그동안은 대형마트, 백화점에서 복합쇼핑몰, 쇼핑센터, 전문점까지 확대하고 ② 지역상품 구매율을 기존 7%에서 10%까지 상향 조정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시는 이번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대전이 충청권 지역의 유통 및 상업 거점도시로서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면서, 소비자들의 소비변화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에 제시된 용역결과를 참고해 유통업 상생발전협의회의 의견 수렴 과정 등을 거쳐‘제4차 대규모점포 5개년 관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 대규모 점포와 지역 소상공인 간 상생협력은 물론 상호 윈윈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임헌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