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N매거진) ‘해남윤씨 및 남양전씨"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 조형물과 유래.
(OTN매거진) ‘해남윤씨 및 남양전씨"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 조형물과 유래.
  • 임헌선 기자
  • 승인 2020.03.07 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OTN매거진) ‘해남윤씨 및 남양전씨"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 조형물과 유래(유래 더보기 클릭).

1. ‘해남윤씨 문중’ 성씨별조형물 및 유래.

작품명 : 번영의 횃불, 조각가 : 남형돈
이미지 : 전면확대 작품 번영의 횃불 정면 후면확대 작품 번영의 횃불 후면 작품설명 작품 상단은 한글 ‘윤’자를 조형적으로 표현하였다. ‘ㅇ’과 ‘ㅠ’자는 불타오르는 횃불을 받들고 있는 모습으로 해남윤씨의 기상과 번영을 보여주었으며, 섬세한 조각으로 ‘붓’을 표현함으로써 ‘윤’자를 완성하고자 하였다.

* 해남윤씨의 유래.

유래 해남윤씨 시조 윤존부存富는 고려 문종(11대, 1046-1083)때 인물이며, 중시조 8세 윤광전光琠은 고려 충숙왕(27대, 1332-1339)때 사온직장영동정司醒直長令同正 봉직 후 가솔을 데리고 전남 강진 (탐진) 덕정동을 세거지로, 후손이 번연하여 8파(長派, 竹寺洞派, 支石派, 富春派, 項村派, 龍山派, 漁樵隱派, 忠南派)를 이루었다.

해남윤씨가 됨은 조선 중종(11대, 1506-1544)때 해남의 어초은 윤효정孝負이 심한 기근으로 세금을 내지 못한 농민들을 감옥에 가두는 안타까움을 보고 옥문을 세 번이나 열어 구휼함이 칭송되어 중종이 "삼개옥문 적선지가라 하며, 그 자손들에게 잡역을 면제하게 하라"고 전지傳旨하였다.

장자 귤정 윤구衢 중종 8년(1513) 과시 利詩에 관貫을 해남으로 하였고,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학문과 문장 지절이 높아 호남삼걸로 명성을 얻었다.

정묘왜변 · 임진왜란 · 정유재란, 병자호란 등 선조들은 가솔과 함께 의병을 이끌고 나라를 수호 하는데 큰 공적을 세워, 특별히 7분의 선조가 강진 화암사花盈祠에 모셔져 있다.

중요한 사료史料는 도선산郁先山 한천동 영모당, 덕정동 추원당, 고려 공민왕3년(1354) 노비허여문기, 임오보 목판본, 가전고화첩, 조선 효종(17대, 1658)이 윤선도에 내린 해남 녹우당과 금쇄동이 국가사적지, 완도 보길도 윤선도 원림이 국가 명승지 등이 있고, 공재 윤두서 자화상은 국보(제240호)로 세계 유일하다.

'고산윤선도유물 전시관, 국립중앙박물관, 규장각' 등에 유물 · 고서 등 1만 5천 점이 전시되어 있다. 고산 윤선도善道는 모든 학문을 탐구한 대선비이며 국문학의 대가로 오우가, 어부사시사는 널리 애송하고 있다.

공재 윤두서斗緖는 회화의 거목이며 3대가 선미 화가이다. 죽록 윤효관孝寬은 순조 때에 영월부사로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善政碑가 있다. 바오로 윤지충은 천주교 최초 순교자로 성인聖人이며, 방산 윤정기廷琦는 다산학의 계승자이다.

윤관錧 대법원장(12대), 윤일영 一泳 중앙선거관리위원장(7대, 대법관) 등 공직 · 국회의원 · 학자 · 법조인 · 언론인 · 기업인 등이 각계에서 국가 발전에 헌신하고 있다.

해남윤씨는 학문과 예술, 충효사상을 계승하며 명문가로 이어갈 것이다.

2. ‘남양전씨 문중’ 성씨별조형물 및 유래

작품명 : 崇祖 - 동방의 태양, 조각가 : 천종권
이미지 : 전면확대 작품 崇祖 - 동방의 태양 정면 후면확대 작품 崇祖 - 동방의 태양 후면 작품설명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종중문서를 남양전씨 가문의 역사를 담은 유래와 어우러진 교지형태로 표상하였다.
좌측의 기둥은 선조를, 우측의 기둥은 후손에 의미를 담아 중앙의 과거, 현재, 미래상으로 화합과 사랑을 담아냈다.

* 남양전씨 문중의 유래.

유래 남양전씨의 시조와 선세(先世)에 대한 기록을 지니지 못한 채 세전(世傳) 및 구전(口傳) 되어오다가 1774년(조선 영조 50년) 창간된 남양전씨 갑오보(甲午譜)에 의하면 전풍(田豊)께서 중국 한림학사(翰林學士)로 계실 때 오서옥책(誤書玉冊)하여 동쪽 우리나라로 귀양와 살았으므로 고려 조정에서 남양군(南陽君)에 봉(封)하였다.

이로 인하여 남양전씨 후손들은 본관을 남양(南陽)으로 하고 남양군공 전풍(田豊)을 전래시조로 삼았으나 기록무전(記錄無傳)으로 생졸연도를 알 수 없고 묘소도 남양지역에 있다고 전(傳)하나 아직 찾지 못하고 있으므로 후손들이 현재 세거지인 충남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산12-1 파진산 남록(南麓)에 건좌(乾坐)로 시조의 묘를 설단하고 묘비를 세웠으며, 매년 음력 10월 01일 추원재(追遠齎) 제향(祭享)해 오고 있다.

실전(失傳)된 4세대를 지나 6세 전주(田柱)께서는 고려말엽 보문각 직제학(寶文閣 直提學) 수첨의정승(守僉議政丞)이셨으며, 7세 전득우(田得雨)께서는 조선 세종 9년 가선대부 한성부윤(嘉善大夫 漢城府尹)에 증직되어 충남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파진산 남단에 예장으로 안장되었다. 묘계에 설치된 왕이 은사한 하사비(下賜碑)와 석분(石墳) 호석(護石) 판석(板石) 석벽(石壁) 석인상(石人象) 등이 당시의 원래모습으로 보존되어 있다.

충청남도에서 위 하사비와 묘 1기(基) 등 예장묘역(5,325㎡)을 충남 문화재 지방기념물 제25호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다. 8세 전흥(田興)께서는 조선개국 초 의흥삼군부 진무소 진무로 계실 때 정안군 이방원(李芳遠)의 都鎭撫(도진무)로 발탁되어 1차와 2차 왕자의 난 때 큰 공을 세웠고,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기 전 잠저(潛邸)에서 조석으로 호위 수종한 공로로 조선 태종 11년 원종공신1등에 책록 되신 후, 통정대부 형조참의와 가선대부 의금부 제조, 원주․홍주목사, 가정대부 인녕․인순부윤, 형조좌참판, 자헌대부 판한성부사, 승정대부 판중초원사 등을 역임하셨고, 시호는 경호(敬胡)이시다.

두 아들 전가생(田稼生)과 전조생(田稠生)께서 대과 친시(親試)에 함께 입력하시고, 조선 세조 원년 원종공신2등에 책록되셨으므로 한 가문의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또한 전가생께서는 통정대부 공주진 병마절제사 공주목사와 홍문관 부제학이셨고, 전조생께서는 가선대부 행청주목사와 경주부윤이셨다.
조생공 아들 전림(田霖)께서는 절충장군 전라우도 수군절제사와 가선대부 회령부사 및 가정대부 한성판윤과 포도대장 등을 역임하시고,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공정무사 청렴결백 엄핵조율(嚴覈照律)의 강직한 인품을 지닌 청백리였기에 맹문장(孟文將)이란 별칭으로 불렸으며, 시호는 위절(威節)이시다.

흥(興)공 증손자 전우치(田禹治)께서 진사(進士)로 문장과 시문이 뛰어났고, 신출 기묘한 도술행각으로 전국을 주행할 무렵 고향에 잠시 들렸다 떠날 때 고향동쪽 고개 넘어 충남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 길가언덕에 가지고 다니던 은행나무 지팡이를 꽂고 주문한 것이 소생하여 수령 500여명년을 웅장하고 수려하게 자란 이 은행나무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52호로 지정되었으며, 일명 전우치 은행나무라고도 한다.

남양전씨 선조께서 받은 왕지 교지 23매와 종중 고문서인 유서성문 1매, 호적단자 3매가 1981년 7월 25일 보물 제727호로 이 보물을 소장하고지정되었고, 보존․관리하기 위하여 2004년 10월 충남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 서당 삼장산 중턱에 한옥단청의 고문서 보호각과 관리사를 국가에서 건립하였다.

남양전씨는 예로부터 빛나고 명예로운 가문으로 동조동근(同祖同根) 충효세업(忠孝世業)을 고양하고 자손대대로 숭조상문(崇朝尙門) 위친경장(爲親敬長)을 근본으로 삼아왔으므로, 후손들을 위하여 한 점 부끄럼없는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설계하고 대망의 세계 속으로 힘차게 전진하여 나아가야겠습니다.

* 효월드 뿌리공원의 소개.

효월드 뿌리공원에는 자신의 성씨에 대한 유래를 알 수 있는 성씨별조형물, 각종행사를 할 수 있는 수변무대, 전망대, 팔각정, 산림욕장, 육각정자 등 다양한 시설도 갖추어져 있으며, 2010년 4월 전국 최초로 한국족보박물관이 개관 운영되고 있다.

인근에 효 문화연구, 교육 등 효문화 진흥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시설인 한국효문화진흥원이 2017년 3월 31일 개원하여 운영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본사 :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4 (나성동, 갤러리 세종프라자) 602호
  • 연락처 : 044-999-2425
  • 등록번호 : 세종 아 00067
  • 발행·편집인 : 임헌선
  • 대전본부 : 대전광역시 동구 홍도로 51번길 13 청와대 105호
  • 발행일 : 2018-03-21
  • 제호 : OTN매거진
  • 명칭 : OTN매거진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otn.kr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헌선
  • 등록일 : 2018-02-21
  • OTN매거진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OTN매거진.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us7232@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