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인동초의 특징과 효능?
(OTN매거진)인동초 인동과에 속하는 인동 덩굴의 줄기및 잎을 말한다.
효능으로 해독, 이뇨의 효과가 탁월해 각종 화농증,피부병 매독증에 활용하고 있다.
인동초는 인동과에 속하는 사철 푸른 떨기나무로서 꽃부분인 인동초(금은화) 및 인동등 부분으로 이루어 지며 성질은 차다.
주요 성분으로는 루리세린,플라보이드,탄닌,알칼로이드,루테루닌,이노시톨,사포닌,로니세린 및 루테오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폐경,비경,심경에 작용하며 해열,해독 효과가 있다.
인동초의 생약적 효과는 검증하지 않았으나 억균적용,면역 부활작용,소염작용,진통작용,이뇨작용,항아작항 항바이러스 작용등이 있다고 밝혀져 있으며 Lonicerin Luteolin-n-rhamnoglucoside 등을 함유하여 전통적인 약제로서 세균성질환과 장염치료에 탁월한 효과가있으며 간염치료, 황달, 수동을 치유하고 해열제와 보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루테오린 성분은 평활근에 작용하여 진경작용,이뇨작용 등의 효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동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숙처리한 후 고형분을 제거한 추출액 상태로 사용하는데,인동초 추출액은 약간 단맛이 있기는 하나 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한방에서는 꽃을 따 그늘에서 말린 것을 금은화(金銀花)라 하여 해열, 해독, 이뇨, 종창, 창독, 종기에 쓴다.
잎이 달린 줄기도 인동등(忍冬藤)이라 하여 함께 쓴다. 성분은 꽃보다 줄기에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열매는 은화자(銀花子)라 한다.
성분은 로니세린(lonicerin)과 루테올린(luteolin), 그리고 약간의 탄닌(tannin)과 알칼로이드(alkaloid)가 들어있다.
따라서 이뇨, 경련 구제작용을 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인동덩굴을 달여 묽게 한 것을 차대신 마신다.
위암이나 위궤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 신경통을 치료하고 기침을 다스린다고 하여 널리 쓰이는 약재이다.
한 때 인동덩굴을 무슨 보약인줄 알고 한 아름씩 걷어다 달여서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또 인동을 오리와 함께 끓여 먹으면 좋다고 하여 성업 중이라고 한다.
흔히 일반인들은 금은화차(金銀花茶)라 하여 인동꽃을 끓여 그 물을 마시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인동꽃은 약간의 독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약리학적으로는 인동을 포한한 로니세라 속 식물은 독초로 취급한다.
맹독을 가진 식물은 아니라도 독이 있으므로 장복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실제 어느 필자가 인동을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모 일간지에 쓰고 자신도 인동덩굴을 걷어다 차를 끓여 마시는 것이었다.
인동은 항균작용이 있는 약재이지만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하면 간장이나 신장에 장애가 올 수 있다.
약재는 반드시 한의사의 진맥과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자료 백과사전 참조)
(OTN매거진)인동초 인동과에 속하는 인동 덩굴의 줄기및 잎을 말한다.
효능으로 해독, 이뇨의 효과가 탁월해 각종 화농증,피부병 매독증에 활용하고 있다.
인동초는 인동과에 속하는 사철 푸른 떨기나무로서 꽃부분인 인동초(금은화) 및 인동등 부분으로 이루어 지며 성질은 차다.
주요 성분으로는 루리세린,플라보이드,탄닌,알칼로이드,루테루닌,이노시톨,사포닌,로니세린 및 루테오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폐경,비경,심경에 작용하며 해열,해독 효과가 있다.
인동초의 생약적 효과는 검증하지 않았으나 억균적용,면역 부활작용,소염작용,진통작용,이뇨작용,항아작항 항바이러스 작용등이 있다고 밝혀져 있으며 Lonicerin Luteolin-n-rhamnoglucoside 등을 함유하여 전통적인 약제로서 세균성질환과 장염치료에 탁월한 효과가있으며 간염치료, 황달, 수동을 치유하고 해열제와 보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루테오린 성분은 평활근에 작용하여 진경작용,이뇨작용 등의 효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동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숙처리한 후 고형분을 제거한 추출액 상태로 사용하는데,인동초 추출액은 약간 단맛이 있기는 하나 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한방에서는 꽃을 따 그늘에서 말린 것을 금은화(金銀花)라 하여 해열, 해독, 이뇨, 종창, 창독, 종기에 쓴다.
잎이 달린 줄기도 인동등(忍冬藤)이라 하여 함께 쓴다. 성분은 꽃보다 줄기에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열매는 은화자(銀花子)라 한다.
성분은 로니세린(lonicerin)과 루테올린(luteolin), 그리고 약간의 탄닌(tannin)과 알칼로이드(alkaloid)가 들어있다.
따라서 이뇨, 경련 구제작용을 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인동덩굴을 달여 묽게 한 것을 차대신 마신다.
위암이나 위궤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 신경통을 치료하고 기침을 다스린다고 하여 널리 쓰이는 약재이다.
한 때 인동덩굴을 무슨 보약인줄 알고 한 아름씩 걷어다 달여서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또 인동을 오리와 함께 끓여 먹으면 좋다고 하여 성업 중이라고 한다.
흔히 일반인들은 금은화차(金銀花茶)라 하여 인동꽃을 끓여 그 물을 마시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인동꽃은 약간의 독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약리학적으로는 인동을 포한한 로니세라 속 식물은 독초로 취급한다.
맹독을 가진 식물은 아니라도 독이 있으므로 장복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실제 어느 필자가 인동을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모 일간지에 쓰고 자신도 인동덩굴을 걷어다 차를 끓여 마시는 것이었다.
인동은 항균작용이 있는 약재이지만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하면 간장이나 신장에 장애가 올 수 있다.
약재는 반드시 한의사의 진맥과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자료 백과사전 참조)
저작권자 © OTN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