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N매거진=임헌선 기자)세종 부강면의 ‘부강약수터’ 유지관리가 엉망이다.
문곡천 상류에서 지난 6월 10일부터 전국적으로 비가 오고 있어서 약수터 유지관리에 더욱 문제가 있으나 근본적인 약수 관리의 모순이 있다는 지역주민들의 전언이다.
부강면 문곡1.2 주민들에 의하면 약수터 주변의 재정비와 상류 주변지역의 중장비차량 주차장, 물류센터, 숙박업 여관, 대형차량물류센터,광산업 등의 기업들이 입주 운영되고 있는데 체계적인 환경관리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세종시가 부강면 문곡천을 1,2급수 어류 버들치가 서식하는 생태하천으로 복원에 나선다.
세종시에 따르면 2021년까지 사업비 66억 원(국비50%, 시비50%)을 투입, 부강면약수터~백천합류지점 1.62km구간에 생태유량확보 관로 설치, 생태호안 정비, 생태탐방로 조성 등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문곡천은 수량 부족에 따른 건천화(乾川化)와 수질 오염, 구조물 설치 등으로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돼 왔으며 최근 주변 도시개발에 따라 생태 복원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복원사업은 문곡천 생태하천 복원과 물문화 자연사 광장 조성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하천복원은 수질개선과 악취민원 해소를 중점으로 환경생태유량 확보, 하천내 서식지 복원, 야생동물 생태통로 확보 등을 추진하며 예로부터 유명한 부강약수터를 활용해 물의 5형태를 표현하는 수변 물문화장연사 광장도 건립할 계획이다.
부강약수터는 탄산수가 나와서 고구려 장수 연개소문이 먹은 약수라는 전설과 함께 세종시민의 식수로 사랑받는 명소였으나 현재 환경오염으로 이용 블가능한 상태이다.
환경녹지국에서는 "복원사업을 통해 옛 부강약수의 명성을 되살리고, 시민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생태하천으로 조성토록 하겠다"고 말하고 있으나 언제 복원될지 모른다는 주민들의 중론이다.
문곡천 상류에서 지난 6월 10일부터 전국적으로 비가 오고 있어서 약수터 유지관리에 더욱 문제가 있으나 근본적인 약수 관리의 모순이 있다는 지역주민들의 전언이다.
부강면 문곡1.2 주민들에 의하면 약수터 주변의 재정비와 상류 주변지역의 중장비차량 주차장, 물류센터, 숙박업 여관, 대형차량물류센터,광산업 등의 기업들이 입주 운영되고 있는데 체계적인 환경관리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세종시가 부강면 문곡천을 1,2급수 어류 버들치가 서식하는 생태하천으로 복원에 나선다.
세종시에 따르면 2021년까지 사업비 66억 원(국비50%, 시비50%)을 투입, 부강면약수터~백천합류지점 1.62km구간에 생태유량확보 관로 설치, 생태호안 정비, 생태탐방로 조성 등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문곡천은 수량 부족에 따른 건천화(乾川化)와 수질 오염, 구조물 설치 등으로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돼 왔으며 최근 주변 도시개발에 따라 생태 복원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복원사업은 문곡천 생태하천 복원과 물문화 자연사 광장 조성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하천복원은 수질개선과 악취민원 해소를 중점으로 환경생태유량 확보, 하천내 서식지 복원, 야생동물 생태통로 확보 등을 추진하며 예로부터 유명한 부강약수터를 활용해 물의 5형태를 표현하는 수변 물문화장연사 광장도 건립할 계획이다.
부강약수터는 탄산수가 나와서 고구려 장수 연개소문이 먹은 약수라는 전설과 함께 세종시민의 식수로 사랑받는 명소였으나 현재 환경오염으로 이용 블가능한 상태이다.
환경녹지국에서는 "복원사업을 통해 옛 부강약수의 명성을 되살리고, 시민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생태하천으로 조성토록 하겠다"고 말하고 있으나 언제 복원될지 모른다는 주민들의 중론이다.

저작권자 © OTN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