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드라미의 특성과 효능? (아래 클릭요 내용 있음)
(OTN매거진) 맨드라미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 5~10cm, 나비 1~3cm의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잎자루가 길다. 가장자리에 톱니는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진다.
7~8월에 붉은색·노란색·흰색 등의 잔꽃들이 편평한 꽃줄기 끝에 빽빽이 달려 피는데 중간 아래쪽에 많은 잔꽃이 달린다. 꽃덮이 조각은 5개이고 댓잎피침형이다. 편평한 꽃줄기의 위쪽이 보다 넓어져서 주름진 모양이 수탉의 볏과 같아 보인다.
9월에 꽃받침에 싸인 달걀꼴의 개과를 맺는데 익으면 가로로 벌어져 뚜껑처럼 열리면서 3~5개의 검은 씨가 나온다.
계관초(鷄冠草)·계관·계두(鷄頭)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흔히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꽃이 수탉의 벼슬과 같다 하여 계관화, 씨를 청상자(靑箱子) 혹은 유관실(類冠實)이라고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되며 염료로도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하며, 아울러 가물치·돼지고기를 금한다.
효능으로 주로 피부과·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 질병으로 각혈, 개창, 구토, 녹내장, 누낭염, 누안, 담, 대하증, 명목, 변비(조시), 변혈증, 붕루, 산후변혈, 산후회복, 선창, 설사, 암(자궁암), 예막, 요로결석, 요혈, 월경불순, 이완출혈, 임신중독증, 임질, 자궁내막염, 적백리, 출혈, 치루, 치질, 치통, 치풍, 타박상, 토혈, 풍, 피부병, 피부소양증, 해수, 해열 등이다.
(OTN매거진) 맨드라미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 5~10cm, 나비 1~3cm의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잎자루가 길다. 가장자리에 톱니는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진다.
7~8월에 붉은색·노란색·흰색 등의 잔꽃들이 편평한 꽃줄기 끝에 빽빽이 달려 피는데 중간 아래쪽에 많은 잔꽃이 달린다. 꽃덮이 조각은 5개이고 댓잎피침형이다. 편평한 꽃줄기의 위쪽이 보다 넓어져서 주름진 모양이 수탉의 볏과 같아 보인다.
9월에 꽃받침에 싸인 달걀꼴의 개과를 맺는데 익으면 가로로 벌어져 뚜껑처럼 열리면서 3~5개의 검은 씨가 나온다.
계관초(鷄冠草)·계관·계두(鷄頭)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흔히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꽃이 수탉의 벼슬과 같다 하여 계관화, 씨를 청상자(靑箱子) 혹은 유관실(類冠實)이라고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되며 염료로도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하며, 아울러 가물치·돼지고기를 금한다.
효능으로 주로 피부과·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 질병으로 각혈, 개창, 구토, 녹내장, 누낭염, 누안, 담, 대하증, 명목, 변비(조시), 변혈증, 붕루, 산후변혈, 산후회복, 선창, 설사, 암(자궁암), 예막, 요로결석, 요혈, 월경불순, 이완출혈, 임신중독증, 임질, 자궁내막염, 적백리, 출혈, 치루, 치질, 치통, 치풍, 타박상, 토혈, 풍, 피부병, 피부소양증, 해수, 해열 등이다.

저작권자 © OTN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