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영동군의 올해 본예산 기준 3,508억 원의 17.5 %를 차지하며, 지난해 복지분야 예산 544억 원 대비 13 %가 증가한 수준이다.
분야별로 보면 △기초생활보장 및 저소득 등 취약계층 지원 164억원 △보육·가족·여성 지원 89억원 △노인·청소년 362억원으로 총 615억 원으로 편성됐다.
군은 올해 민선 6기의 군정방침인‘복지의 맞춤화’를 실현하기 위해 △저소득층, 장애인 등 복지 수요자와 현장 중심의 맞춤형 복지 실현 △희망복지지원으로 복지체감도 향상 △노인 삶의 질 향상 △행복한 여성과 가족, 아이가 안전한 도시 영동 △희망과 미래를 꿈꾸는 아동·청소년 육성 등 5개 전략목표를 설정,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저소득층, 장애인 등 복지 수요자와 현장 중심의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독립·6.25·월남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및 사망위로금 지급 등 보훈 분야 △자활사업 △기초생활보장급여와 의료급여 지원 △장애인연금 등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장애인시설 및 단체 운영 지원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사회참여·활동 지원 등에 총 155억6000여 만 원을 투입한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정 긴급 지원 △통합사례관리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민 ․ 관 협력을 통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등에 총 8억4000만원을 투입한다.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기초연금·장수수당·효도수당·노인돌봄서비스 등 저소득층 노인 소득 및 생활 안정 지원 △ 노인복지관 및 노인단체 운영 지원 △공공·민간분야 및 9988행복지키미 등 노인일자리 제공 △노인복지시설 운영 활성화 △경로당 가사도우미 지원 △독거노인 경로당 공동생활 지원 △9988행복나누미 사업 △경로당 신축, 개보수, 운영비, 난방비, 생활환경개선, 건강보조기구 지원 사업 등에 357억6000여 만 원을 투입한다.
행복한 여성과 가족, 아이가 안전한 도시 영동을 만들기 위해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여성 역량 강화 및 여성단체 활성화 △한부모 가족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제공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등에 총 12억 원을 투입한다.
지역의 미래 희망인 아동 및 청소년들의 올바른 육성을 위해 △지역아동센터 지원 △소년소녀가정·결함가정 등 보호가 필요한 아동 자립 지원 △영유아보육료, 공공형 어린이집 운영 등 안정적인 영유아 보육환경 조성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 및 보호 △드림스타트 사업 등에 총 83억 원을 투입한다.
박세복 영동군수는“전국에서 제일 앞서가는 복지를 펼쳐 어려운 이웃들을 돕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앞으로도 다양한 복지 시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